📣 드디어!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완화 & 혜택 확대! 나도 신청 가능할까?
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‘내 집 마련’, ‘창업 자금’ 등 목돈 마련의 꿈! 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든든한 동반자, 바로 청년도약계좌죠. 5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가 돈을 보태주고, 이자에는 세금까지 안 붙는다는 사실!
특히 2025년에는 가입 문턱이 더 낮아지고, 혜택은 더 커졌다는 기쁜 소식이 들려오고 있어요. 내가 과연 청년도약계좌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을지, 지금부터 자세한 가입 조건을 함께 알아볼까요?
2025년 청년도약계좌,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? (필수 5가지 조건)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면 아래 5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해요. 하나라도 빠지면 아쉽지만 가입이 어렵답니다.
1. 나이 요건: 만 19세~34세 청년 주목!
-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여야 합니다.
- 군 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나이 계산에서 빼줘요! 예를 들어, 군 복무를 2년 했다면 만 36세까지도 가입 가능하죠.
- ⭐2025년 주요 변경점: 현역 군인도 이제 가입 가능합니다! 군 복무 중인 청년들도 목돈 마련의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된 거죠.
2. 개인소득 요건: 소득이 있어도 OK!
- 직전 과세기간(2025년 상반기 가입 시 2023년 소득 기준)의 총급여액이 7,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.
- 만약 종합소득(사업소득, 프리랜서 등)이 있다면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 원 이하여야 해요.
- 주의!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을 통해 소득을 증명할 수 없는 분들은 아쉽지만 가입이 어려워요. (하지만 대학생이나 무직자여도 소득 신고 내역이 있다면 가입할 수 있답니다!)
-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되지만, 육아휴직급여나 군 장병 급여만 있다면 가입 요건 소득에 포함됩니다.
3. 가구소득 요건: 중위소득 250% 이하! (이 부분이 크게 완화됐어요! 🎉)
-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.
- ⭐2025년 가장 중요한 변화!: 기존에는 중위소득 180% 이하만 가능했지만, 250% 이하로 기준이 대폭 확대되었어요.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 거죠!
- 가구원은 누구? 청년 본인과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, 부모, 자녀, 미성년 형제·자매를 기준으로 봅니다.
-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250% (2024년 기준 중위소득으로 예상)
- 1인 가구: 연 소득 약 6,685만 원 이하 (월 약 557만 원 이하)
- 2인 가구: 연 소득 약 1억 104만 원 이하 (월 약 837만 원 이하)
- 4인 가구: 연 소득 약 1억 7,189만 원 이하 (월 약 1,432만 원 이하)
- (정확한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추후 정부 발표를 꼭 확인해주세요!)
4.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No!
-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단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(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 초과)에 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. 고액 자산가는 제외된다는 의미죠.
5. 기존 정책금융상품 가입 여부 확인!
-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라면 아쉽게도 청년도약계좌에 중복 가입할 수 없습니다.
- 하지만! 청년희망적금을 만기 했거나 중도 해지했다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!
⭐ 2025년! 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혜택 미리보기!
가입 조건 완화 외에도 청년도약계좌의 매력이 한층 업그레이드되었어요.
- 정부 기여금 확대: 매월 50만 원 ~ 70만 원을 납입할 때, 소득 구간별로 정부가 더 많은 기여금을 지급해준답니다. (총급여 2,400만 원 이하인 분들은 월 최대 3.3만 원까지!)
- 신용점수 UP! (2025년 7월 10일부터): 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하면, 신용평가회사(NICE, KCB)에서 신용점수를 5점~10점 이상 자동으로 올려줘요! 목돈도 만들고 신용도 관리하고, 일석이조죠?
- 부분 인출 서비스 도입! (2025년 7월 10일부터): 급전이 필요할 때 이제 걱정 마세요! 2년 이상 가입하고 성실하게 납입했다면, 납입액의 최대 40% 범위 내에서 1회에 한해 돈을 부분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됩니다.
청년도약계좌, 이렇게 신청하세요!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정해진 신청 기간에 다음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어요.
- 취급 은행: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대구은행 (총 11개)
- 신청 절차:
- 매월 정해진 신청 기간에 내가 원하는 은행 앱을 통해 가입을 신청합니다.
- 신청 후 약 2주간 가입 요건 심사가 진행돼요. (소득 및 가구 요건 등)
- 심사 결과, 가입이 가능하다는 안내 문자를 받습니다.
- 안내받은 기간 내에 해당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하고 납입을 시작하면 끝!
마치며
2025년, 더 넓어진 문턱과 더 강력해진 혜택으로 돌아온 청년도약계좌! 지금 바로 나의 나이, 소득, 가구 소득 요건을 꼼꼼히 확인해보세요. 작은 금액이라도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의 지원과 비과세 혜택 덕분에 상상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.
망설이지 말고 도전해서, 5년 후 빛나는 미래를 위한 든든한 자산 기반을 다져보세요!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**서민금융진흥원 콜센터(1397)**나 각 은행에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답니다. 😊